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ocate 설치 방법
- find
- q!
- etc
- Docker
- 리눅스마스터2급
- 파일
- 이미지 레지스트리
- lcoate 설치
- 셸
- docker create
- 디스크
- 레드햇
- PS
- Ctrl
- 컨테이너
- container
- mkdir
- image
- LS
- docker logs
- docker logout
- umask
- 명령어
- 리눅스
- RM
- 이미지
- linux
- 자격증
- 도커
- Today
- Total
Bae's Digital Dialogues
리눅스마스터2급 뒤죽박죽 필기 -2 본문
디스크 관련 명령어
du 명령은 디렉터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
df 명령은 디스크 공간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quota 명령은 디스크 사용량 제한 및 현재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
간단히 실습을 해 보았다. quota 명령어는 사용하는게 없어서 그런가? 해서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도 df랑 du랑 확실한 차이를 알게 되었다.
fdisk 명령어
fdisk는 명령은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
n(new) - 새로운 파티션 생성
w(write) - 파티션 정보 저장하고 종료
q(quit) - 저장 안하고 종료
블록 장치 및 파일 시스템
lsblk 명령은 블록 장치에 대한 정보를 트리 형식으로 보여줌
blkid 명령은 블록 장치에 있는 파일 시스템의 UUID와 파일 시스템 유형을 확인
fdisk 명령은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
UUID 명령은 UUID를 생성하는 데 사용, UUID는 고유한 식별자
디스크 사용량 관련 명령어
quota - 시스템의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한 디스크 사용량 제한(quota)을 설정하고 관리
edquota(edit) - 사용자 또는 그룹의 디스크 사용량 제한을 편집
requota(report) - 파일 시스템의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한 디스크 사용량 보고서를 생성하고 보고
xfs_quota - XFS 파일 시스템에서 디스크 사용량 제한을 설정하고 관리
이거슨 requota 명령어의 결과이다..
umask
umask 값이 0022일 경우 생성되는 파일의 허가권 값은 0666 - 0022 = 0644
디렉터리는 0777-0022 = 0755
Sticky Bit과 Set GID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디렉터리에서 파일 생성은 자유로우나 삭제는 본인이 생성한 파일만 가능 => Sticky Bit (1)
파일 생성시 자동으로 그룹 소유건이 Project로 부여 되도록 설정 => Set GID(2)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
chown: chown(Change Owner)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하는 데 사용.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할 때 사용자는 변경하려는 소유자의 사용자 이름을 지정해야 하며,
그룹을 변경할 때는 변경하려는 그룹의 이름을 지정해야 함
클라우드 서비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 기반 서비스)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기반 서비스)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
이용자의 설정이 많은 순서를 물어보면 알파벳 순서로 외우자..
I 인프라부터 구축 > P 인프라는 구축되어 있고 플랫폼 설정 > S 소프트웨어 설정
R
복잡한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를 위한 강력한 도구를 제공
빅데이터 환경에서 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분석된 데이터의 의미와 가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때 유용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가상화 기술
반가상화 - Xen
전가상화 - KYM
클리스터링 기술
고계산용 클러스터 = HPC 클러스터 = High Performance Computing Cluster
베어울플 클러스터 = 표준 컴퓨팅 자원(일반 PC등)을 사용하여 구축 가능한 고성능 컴퓨팅 클러스터
고가용성 클러스터 = 다수의 웹 서버를 운영하는 환경으로 하나의 로드 밸런서 시슽ㅁ으로 부하를 분산하는 중이다.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
SYN Flooding 공격은 네트워크 보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의 한 형태.
따라서 netstat -an 명령어를 이용하여, 어느 포트로 어떤 IP가 접근을 시도하는 지 확인 필요함.
이후 arp 명령어로 MAC을 확인하고 차단
netstat -an
arp
흠.. 재밌고만
/etc/hosts 파일
/etc/hosts 파일은 ip와 hostname을 매핑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느낌?인듯 하다..
네트워크 점검 명령어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 및 관리에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용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 확인, IP 주소 설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비활성화 등.
ss : 소켓 통계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네트워크 연결, 소켓 통계, 프로토콜 사용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도: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포트 사용 현황 체크, 소켓 상태 모니터링 등.
netstat : 네트워크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통계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용도: 네트워크 연결,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통계, 멀티캐스트 멤버십 등을 확인.
mii-tool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미디어 상태를 확인하고 설정하는 도구입니다.
용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링크 상태, 속도 및 듀플렉스 모드 확인 및 설정.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하는 명령어
ip, route, netstatethtool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설정을 조회하고 변경하는 데 사용
FTP 서버 관련 명령어
FTP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명령어 = put
FTP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명령어 = get
'자격증 공부 > 리눅스마스터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2급 뒤죽박죽 필기 - 3 (2) | 2024.06.08 |
---|---|
리눅스마스터2급 뒤죽박죽 필기 - 1 (0) | 202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