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ocker create
- docker logout
- Docker
- 레드햇
- lcoate 설치
- linux
- 도커
- 명령어
- container
- etc
- Ctrl
- 셸
- image
- locate 설치 방법
- mkdir
- docker logs
- RM
- LS
- 디스크
- 리눅스마스터2급
- q!
- 이미지
- 컨테이너
- PS
- 리눅스
- umask
- 파일
- 자격증
- 이미지 레지스트리
- find
- Today
- Total
목록파일 (3)
Bae's Digital Dialogues

파일 검색 및 명령어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파일을 찾는 명령어로는 find와 locate가 있다. 먼저 find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find find . -name file-1.txt -print위 예에서는 으로 -name file-1.txt를 지정하여 파일 이름으로 검색했다. 그리고 으로는 -print를 지정했다. 이는 파일의 경로를 출력하는 액션으로 find 명령어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된다. 액션에 아무런 인자도 지정하지 않으면 -print가 기본적으로 사용된다. 파일 두 개가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find 명령어는 지정한 디렉터리 트리를 내려가면서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파일을 검색한다. 따라서 디렉터리가 깊게 중첩되어 있어도 파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pwdprint working directory의 줄임말이다.$ pwd #현재 디렉터리 출력현재 속해있는 디렉터리를 출력하였다. 디렉터리를 만드는 mkdir [생성할디렉터리명]"make directory"의 줄임말이다.$ mkdir hoonlinux #hoonlinux 디렉터리 생성새로운 디렉터리를 생성해 보았다.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cd"change directory"의 줄임말이다.디렉터리 이동:cd [이동할 디렉터리명]홈 디렉터리 이동:cd ~상위 디렉터리 이동:cd ..$ cd hoonlinux #hoonlinux 디렉터리로 이동hoonlinux 디렉터리로 이동 후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pwd 명령을 통해 home 디렉터리 밑에 hoonlinux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리눅스에서는 모든 것을 파일로 다루기 때문에 파일 조작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리눅스에서 파일을 다루는 방법을 살펴보자 디렉터리란파일의 개수가 많아지면 종류별로 분류하는 것이 좋다. 여러 개의 파일을 담아서 정리할 수 있는 것이 디렉터리이다. 윈도나 맥의 폴더 개념과 동일하다. 리눅스의 디렉터리 구조맨 위에 있는 / 디렉터리를 루트 디렉터리라 한다.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부모를 찾아 올라가면 루트 디렉터리에 도달하게 된다. 루트 디렉터리 아래에 디렉터리와 파일이 있는 계층 구조를 트리 혹은 디렉터리 트리라고 한다. 루트를 뿌리라고 생각하고 그 아래에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잎이라고 생각하면 나무와 흡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ATH'루트 디렉터리 아래의 usr 디렉터리 아래의 bin 디렉터리 아..